안녕하세요 쿠아쿠아 꾸아그입니다. 파리에서 도시락을 파는 여자 마지막편입니다. 화려한 줄 알았던 첫 사업에서 쓰디쓴 실패를 경험한 켈리 최는 한동안 폐인처럼 살아갑니다. 체중도 10kg나 불어나고 후배와의 만남에서 커피값을 걱정해야 할 정도로 금전적으로 힘든 상황이었습니다. 그럼에도 왕년에 잘나가는 사업가였다는 생각에 자존심을 버릴 수 없어 집과 자동차는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다시 일어설 결심을 하고 민박을 운영하기 시작합니다. 파리의 부촌에 위치하고 있어 호텔에 버금가는 숙박료에도 꽤 잘 운영되었습니다. 민박이 어느 정도 자리를 잡기 시작하자 아는 후배에게 운영을 맡기고 새로운 사업의 진행을 본격적으로 시작합니다. 그녀의 아이디어는 바로 지금의 켈리델리의 사업인 도시락 사업이었습니다. 역시 그냥 평범한 도시락 사업이 아니었죠. 동양인들이 프랑스의 대형마트의 한 가운데서 주문이 들어오는 즉시 회를 떠서 초밥을 만들어주는 쇼비즈니스였습니다. 평소 켈리 최는 마트에서 파는 초밥의 퀄리티가 현저히 떨어진다는 것을 파악하고 수준 높은 초밥을 판매하는 방법을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신선도와 아시아의 문화를 전수한다는 두 가지를 모두 잡을 수 있는 아이디어였죠. 이 아이디어가 성공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준비하는데 그녀는 2년이라는 시간을 철저하게 보냈습니다. 사업 성공 경험을 알려주는 많은 책들이 일단 시작하라고 외치고 있지만, 켈리 최는 이렇게 얘기합니다. 절대 아무런 계획과 조사도 없이 일단 시작하지 마라. 철저히 준비하고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입니다.
안녕하세요. 쿠아쿠아 꾸아그입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하드우드와 소프트우드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하드우드
하드우드는 주로 물관(vessel)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유공재(porous wood)라고 일컬어집니다. 식물학에서 활엽수의 나무 및 관목은 속씨식물(angiosperms)이라고 하지요. 일반적으로 꽃은 피우지 않고, 씨앗은 과일이나 견과류 같이 보호된 씨방(ovary)에 싸여 있어요. 잎은 대체로 넓으며 가는 줄무늬가 있으나 생육하는 지역의 날씨에 따라 결정됩니다.
하지만 몇몇 예외 경우가 있는데, 북미의 미국의 참나무 수종인 Live Oak(Quercus Virginiana), 호랑가시나무(Holly, Ilex spp.), 목련류 등은 상록수에요. 또한, 북미에서 자라는 호주산 목마황(Australian she-oak, Casuariana spp.)은 솔잎처럼 생긴 잎을 가지고 있어 북미에서는 호주 소나무(Australian pine)으로 불리고 있지만, 소나무도 아니며 소프트우드도 아닙니다. 그렇다고 참나무도 아니라고 합니다.
소프트우드
소프트우드는 물관이 없어 무공재(non-porous wood)라고 합니다. 식물학에서 침엽수는 겉씨식물(gymnosperms)이라고 하지요. 이들은 옥수수의 구조와 비슷하게 겉으로 드러난 씨앗을 생산한다고 해요. 대부분 잎이 바늘이나 비늘같고 곧은 상록수입니다.
대표적인 예외 종으로 낙엽송(Larch, Larix spp.)과 미국낙우송(Baldcypress, Taxodium spp.)이 있는데 바늘 같은 잎이 집니다. 또한, 가로수나 장식용으로 흔히 쓰이는 아시아 원산지의 은행나무(Ginkgo, Ginkgo biloba)는 하드우드처럼 넓은 잎을 가지고 있고, 씨앗이 과일로 보호되어 있지만 소프트우드종이에요.
북미에서 높은 등급의 하드우드는 가구, 베니어판, 정밀 수공예품을 만드는데 사용하고, 낮은 등급의 하드우드는 철도목, 운송용 파렛트, 종이 등으로 사용합니다.
소프트우드는 주로 외장목이나 합판 등, 1차적 목적으로 사용한다고 해요.
이번 강의에서는 하드우드와 소프트우드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하드우드
하드우드는 주로 물관(vessel)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유공재(porous wood)라고 일컬어집니다. 식물학에서 활엽수의 나무 및 관목은 속씨식물(angiosperms)이라고 하지요. 일반적으로 꽃은 피우지 않고, 씨앗은 과일이나 견과류 같이 보호된 씨방(ovary)에 싸여 있어요. 잎은 대체로 넓으며 가는 줄무늬가 있으나 생육하는 지역의 날씨에 따라 결정됩니다.
하지만 몇몇 예외 경우가 있는데, 북미의 미국의 참나무 수종인 Live Oak(Quercus Virginiana), 호랑가시나무(Holly, Ilex spp.), 목련류 등은 상록수에요. 또한, 북미에서 자라는 호주산 목마황(Australian she-oak, Casuariana spp.)은 솔잎처럼 생긴 잎을 가지고 있어 북미에서는 호주 소나무(Australian pine)으로 불리고 있지만, 소나무도 아니며 소프트우드도 아닙니다. 그렇다고 참나무도 아니라고 합니다.
소프트우드
소프트우드는 물관이 없어 무공재(non-porous wood)라고 합니다. 식물학에서 침엽수는 겉씨식물(gymnosperms)이라고 하지요. 이들은 옥수수의 구조와 비슷하게 겉으로 드러난 씨앗을 생산한다고 해요. 대부분 잎이 바늘이나 비늘같고 곧은 상록수입니다.
대표적인 예외 종으로 낙엽송(Larch, Larix spp.)과 미국낙우송(Baldcypress, Taxodium spp.)이 있는데 바늘 같은 잎이 집니다. 또한, 가로수나 장식용으로 흔히 쓰이는 아시아 원산지의 은행나무(Ginkgo, Ginkgo biloba)는 하드우드처럼 넓은 잎을 가지고 있고, 씨앗이 과일로 보호되어 있지만 소프트우드종이에요.
북미에서 높은 등급의 하드우드는 가구, 베니어판, 정밀 수공예품을 만드는데 사용하고, 낮은 등급의 하드우드는 철도목, 운송용 파렛트, 종이 등으로 사용합니다.
소프트우드는 주로 외장목이나 합판 등, 1차적 목적으로 사용한다고 해요.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