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쿠아쿠아 꾸아그입니다. 파리에서 도시락을 파는 여자 마지막편입니다. 화려한 줄 알았던 첫 사업에서 쓰디쓴 실패를 경험한 켈리 최는 한동안 폐인처럼 살아갑니다. 체중도 10kg나 불어나고 후배와의 만남에서 커피값을 걱정해야 할 정도로 금전적으로 힘든 상황이었습니다. 그럼에도 왕년에 잘나가는 사업가였다는 생각에 자존심을 버릴 수 없어 집과 자동차는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다시 일어설 결심을 하고 민박을 운영하기 시작합니다. 파리의 부촌에 위치하고 있어 호텔에 버금가는 숙박료에도 꽤 잘 운영되었습니다. 민박이 어느 정도 자리를 잡기 시작하자 아는 후배에게 운영을 맡기고 새로운 사업의 진행을 본격적으로 시작합니다. 그녀의 아이디어는 바로 지금의 켈리델리의 사업인 도시락 사업이었습니다. 역시 그냥 평범한 도시락 사업이 아니었죠. 동양인들이 프랑스의 대형마트의 한 가운데서 주문이 들어오는 즉시 회를 떠서 초밥을 만들어주는 쇼비즈니스였습니다. 평소 켈리 최는 마트에서 파는 초밥의 퀄리티가 현저히 떨어진다는 것을 파악하고 수준 높은 초밥을 판매하는 방법을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신선도와 아시아의 문화를 전수한다는 두 가지를 모두 잡을 수 있는 아이디어였죠. 이 아이디어가 성공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준비하는데 그녀는 2년이라는 시간을 철저하게 보냈습니다. 사업 성공 경험을 알려주는 많은 책들이 일단 시작하라고 외치고 있지만, 켈리 최는 이렇게 얘기합니다. 절대 아무런 계획과 조사도 없이 일단 시작하지 마라. 철저히 준비하고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입니다.
안녕하세요. 쿠아쿠아 꾸아그입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나무의 상업적 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강의를 계속 듣다 보니, 나무의 종류나 수입종 등 모든 내용은 미국의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나무의 상업적 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강의를 계속 듣다 보니, 나무의 종류나 수입종 등 모든 내용은 미국의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나무 수종의 상업적 중요도는 나무의 크기, 종류, 품질, 수량 등으로 측정할 수 있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요소는 크기입니다. 크기와 함께 품질 요소를 통해 생활 용도로 쓰일 지, 산업 용도로 쓰일 지 결정이 된다고 해요.
예를 들어 오크, 월넛, 체리, 마호가니 등 하드우드의 경우에는 나무의 조직, 색깔, 작업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주로 가구 제작에 사용합니다.
반면 곧고 길게 뻗은 특정 종의 소프트우드는 장대, 건축자재 등으로 사용합니다.
나무의 용도가 항상 같은 수준으로 지속되지는 않습니다. 병충해나 산불 등으로 개체 수가 줄어들 수도 있고, 가공 기술의 발달로 다른 용도로 쓸 수도 있습니다.
북미의 오리나무(Alder, Alnus spp)의 경우 기존에는 상업적으로 크게 주목 받지 못하고 큰 가치도 없었다고 하네요. 하지만 20세기 들어 벌목 금지가 시행되면서 이제는 희소성으로 인해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고무나무(Rubberwood, Hevea spp)는 예전에 단지 고무를 얻고 나서 잘라 버리거나, 토착민들이 땔감으로 쓰곤 했습니다. 그러나 고무의 가치가 점점 낮아지면서 생산자들이 고무나무를 잘라 내고 돈이 되는 다른 나무를 재배하기 시작했지요. 그러자 고무나무가 희소해지면서 가치가 올라갔고 더불어 가구나 생활 용품 제작에 적합하다는 것이 발견되었어요. 이제 고무나무는 땔감으로 쓰기에는 너무 가치가 높아져 버렸습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